공모주 청약 방법 총정리 해드립니다.
- 공모주 청약 일정과 정보 파악하기
- 해당 증권 계좌 개설하기
- 증권 계좌에 증거금 입금하기
- 주식 청약 신청하기
- 환불금 정산 받기
- 공모주 매도하기
- 공모주에서 확인해야 할 필수 정보
공모주란 무엇인가?
사전적으로 기업들이 공모를 위해 주식을 발행하는 것을 공모주라고 합니다. 즉, 비상장기업이 상장하면서 청약 과정을 통해 사람들에게 분배하는 주식을 말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공모주를 사겠다고 신청하는 것을 공모주 청약이라고 합니다.
공모주 청약은 왜 하는가?
대부분의 경우, 공모주가 상장하는 첫날에 공모가보가 높은 가격에 매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즉, 내가 산 가격보다 비싸게 팔 수 있습니다. 그럼 여기서 얼마나 돈을 벌 수 있는지 궁금할 겁니다.
원래 기존에는 상장 첫날 공모가의 90~200% 내에서 호가를 접수하여 시초가(기준가)를 결정하고 개장 이후에는 시초가(기준가)의 하한 -30%, 상한 +30% 범위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이번에 바뀐 점은 신규상장 종목의 시초가(기준가)는 공모가 그대로 결정되고 가격 제한 폭은 공모가의 60~400%로 확대되었습니다. 즉, 하락 제한 폭은 큰 차이가 없지만 상승 제한 폭이 260%에서 400%로 엄청 확대되었습니다.

이제는 따상(시초가가 공모가의 2배) 대신 따따상(공모가의 400% 상승) 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공모주 청약 방법
1. 공모주 청약 일정, 정보 파악하기
공모주를 청약하기 위해서는 어떤 공모주가 청약 예정인지, 그리고 청약 일정은 어떻게 되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러한 정보는 네이버에 ‘공모주’라고 검색하면 그 달의 공모주들이 나옵니다. 그리고 각 회사를 클릭하면 공모주에 대한 정보가 나오죠. 확인해야 할 정보로는 주관사와 여러 필수 정보를 확인해야 합니다. 필수 정보는 7번째 목차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네이버 증권 IPO
https://finance.naver.com/sise/ipo.nhn
2. 해당 증권 계좌 개설하기
공모주의 주관사를 확인했다면 주관사의 증권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공모주는 주관하는 증권사가 있는데 이때 주관사는 한 곳일 수도 있고, 여러 곳일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계좌 개설 당일에는 청약이 불가능한 증권사도 있기 때문에 최소한 공모일 전날까지는 계좌를 만들어야 합니다.
참고로 증권 계좌 또는 은행 계좌를 한 번 만들면 영업일 20일이 지나야 다른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 외에 키움증권, 삼성증권, 유진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등 영업일 20일 제한이 없는 증권사도 있습니다.
3. 증권 계좌에 증거금 입금하기
위의 과정이 끝났으면 기본적인 것은 끝났습니다. 이제 해당 증권 계좌로 증거금을 입금합니다.
이 때, 증거금이란 계약금같은 것입니다.
공모주마다 청약증거금률이 존재합니다. 청약증거금률을 각각 50%, 100%일 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공모가가 만원인 공모주를 10주 청약하고 싶다면계산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청약증거금률 50%) 1만원*10주=10만원 -> 5만원
- (청약증거금률 100%) 1만원*10주=10만원 -> 10만원
공모주 청약 시에는 수수료도 있습니다. 단, 청약에 성공해서 주식이 배정되었을 때만 청약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현재 대부분 증권사에서는 종목당 1000원~2000원의 수수료를 받고 있으며 증권사 특정 조건에 만족한다면 수수료를 면제해주기도 합니다.
4. 주식 청약 신청하기
청약 기간은 네이버 증권 정보를 보시면 나와있습니다.
1. 공모주를 청약하기 위해서는 해당 증권사 어플을 설치해야 합니다.
2. 검색에 ‘공모주 청약’ 혹은 ‘공모’나 ‘청약’으로 검색합니다. 그러면 청약 종목들이 나옵니다.
3. 원하는 종목에 들어가 청약 신청을 하면 됩니다.
균등 청약/비례 청약의 차이점
균등 청약은 최소 청약증거금 이상만 납입하면 청약 참여자 모두에게 똑같은 수의 주식을 배정합니다.
예를 들면, 최소가 10주라면 10주나 15주나 똑같은 수의 주식을 배정받습니다. 흔히들 최소 청약증거금만 넣으면 1주만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례 청약은 투자금이 많으면 많을수록 유리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균등이니 비례니 굳이 중요한 것은 아닌 게 청약을 신청하면 균등, 비례 자동으로 한꺼번에 계산됩니다. 만약 여유 자금이 많아서 1000주를 신청한다면 균등청약 + 비례청약에 대한 주식을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5. 환불금 정산 받기
대부분 신청한 청약 수보다 적게 배정을 받기 때문에 환불금이 발생합니다. 환불일은 증권사 어플에 ‘공모주 청약’으로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공모주 매도하기
청약에 성공했다면 주식을 보유하게 된 것이고 상장일까지 기다리면 됩니다.
보통 통계를 보면 상장 첫날에 장이 열리자마자 파는 것이 수익률이 가장 높습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했다면 장기적으로 가지고 있어도 되지만 저는 상장 첫날에 파는 것을 추천합니다.
7. 공모주에서 확인해야 할 필수 정보
공모주에서 확인해야 할 필수 정보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관 경쟁률이 높은 공모주에 투자한다.
- 의무보유확약비율이 높은 공모주에 투자한다.
기관 경쟁률이 높은 공모주는 수요예측 시 기관들이 높은 가격에 많은 주식을 산다고 한 것입니다. 이에 기업의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는 뜻으로 상장일에도 높은 가격에 거래될 수 있습니다.
의무보유확약비율은 상장일에 해당 주식을 보유한 기존 주주들이 주식을 팔 수 없는 것을 뜻합니다. 그렇기에 기존 주주들이 많은 물량을 매도해서 주가가 급락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입니다.
반면, 일반 투자자는 해당 제도에 포함되지 않아 상장일에 주식을 거래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투자 지식 정보
배당주 투자 지식 4가지 (feat. 이해, 장점, 위험 요소, 전략)